김종진의 블로그 3 페이지 > 한국노동사회연구소

김종진의 블로그
[자료] Digital platform work in South Korea (한국의 디지털 플랫폼노동)
2021-12-09 | 조회수 : 2447 * 이 글은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한국 사무소 의뢰로  한국의 플랫폼노동 현황과 쟁점 이슈페이퍼입니다.   독일 및 여러 국가들에게   한국 플랫폼노동 상황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.Digital platform work in South Korea(한국의 디지털 플랫폼노동)
[칼럼] 낡은 노동법 떨치고, 일하는 시민법으로
2021-12-04 | 조회수 : 2341 * 이 글은 경향신문에 월 1회 연재하고 있는 <세상읽기> 2021년 12월 3일 칼럼입니다.- 아래 -낡은 노동법 떨치고, 일하는 시민법으로- 김종진 (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)   괜찮은 일자리와 존엄한 일자리의 차이. 지난 20년 국제노동기구(ILO)는 좋은 일자리를 위한 논의를 확장시켰다. 최저수준의 협약만이 아니라 더 …
[이슈페이퍼 2021-17] 기후위기와 노동의 정의로운 전환 - 지속가능한 규칙과 노동시장 상황 -
2021-11-09 | 조회수 : 2052 [이슈페이퍼 2021-17] 기후위기와 노동의 정의로운 전환- 지속가능한 규칙과 노동시장 상황 -작성: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○ 첫째, 2018년 기준 탄소유발계수가 높은 상위 업종(1그룹)의 종사자는 3,142천명이었고, 여성(21%, 767천명)과 청년(28.6%)이 5명 중 1명을 차지하고 있음. 1그룹 비정규직은 3분의 1(33.2%)…
[자료] 다양한 고용형태의 주요 실태와 정책 개선방향
2021-11-06 | 조회수 : 2514 * 이 자료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이중노동시장 포럼(2021.11.5) 발표 위해   기존 필자의 연구보고서와 자료를 토대로 추가보완 재구성한 것입니다.'다양한 고용형태의 주요 실태와 정책 개선방향'-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
[자료] 청년의 삶과 여정, 다층적 생애주기 노동시장의 교차성
2021-11-06 | 조회수 : 2505 * 이 자료는 2021년 여성가족부 성평등 포럼(2021.11.2)에서   발표한 자료입니다. '청년의 삶과 여정, 다층적 생애주기 노동시장의 교차성'-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
[칼럼] 과속방지턱이 필요한 '청년의 흉터들'
2021-11-05 | 조회수 : 2415 * 이 글은 경향신문  <세상읽기>의 필자 칼럼(2021.11.5) 원고입니다.- 아래 -과속방지턱이 필요한 ‘청년의 흉터들’   (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)   평등을 일상으로. 2021년 여성가족부 성평등 포럼 문구다. ‘미래 여는 새로운 성평등 세상’을 모토로 청년의 일과 삶이 토론 주제였다. …
[자료] 아프면 쉴 권리와 소득 지원, 유급병가와 상병수당
2021-11-01 | 조회수 : 2234 * 이 자료는 행안부 광화문 1번가(2021.7) 및 정책기획위원회 내부 간담회(2021.9)에서필자가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한 내용 일부를 정리한 자료입니다. <아프면 쉴 권리와 소득 지원, 유급병가와 상병수당>
[자료] 2021 플랫폼노동 실태조사
2021-10-21 | 조회수 : 3222 * 이 자료는 <2021년 플랫폼노동 실태조사> 보고서입니다.: 대리운전, 배달기사, 가사청소, 돌봄, 마이크로 워크
[칼럼] 글로벌 화장품 기업의 가치는 뭔가
2021-10-08 | 조회수 : 2365 * 이 글은 경향신문 연재하는 <세상읽기> 2021년 10월 7일 칼럼입니다.- 아래 -글로벌 화장품 기업의 가치는 뭔가   김종진 (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)     샤넬, 랑콤, 시세이도, 에스티로더, 디올, 시슬리. 누구나 한번쯤 접해보았을 외국계 화장품 브랜드다. 구인구직사이트 채용정보를 검색해…
[이슈페이퍼 2021-15] 취약층 직업능력 향상과 교육훈련 실태 -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불안정성 -
2021-10-06 | 조회수 : 2150 [이슈페이퍼 2021-15] 취약층 직업능력 향상과 교육훈련 실태-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불안정성 -작성: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○ 첫째, 디지털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고용형태의 다변화로 직업 및 교육훈련을 적용받지 못하는 비정규직 및 다양한 고용형태(664만명)가 증가하고 있고, 지난 15년 사이 고령(352.2%p), 초단시간(145%p…